유용한 자료
/
Search
Share
갤러리 보기
영상으로 보는 게 편하시다면
를 눌러 영상 튜토리얼을 확인하세요!
1. 클래스팅 가입하기
네이버, 카카오, 구글, 애플, 이메일 중 원하는 방식을 선택해 가입해주세요.
이메일로 가입을 선택한 경우, 전송된 코드를 입력하면 가입이 완료됩니다.
2. 새 클래스 만들기
간단한 기본 정보를 입력해 새 클래스를 개설하세요.
•
나의 학교·기관이 리스트에 없다면 신규로 등록할 수 있어요.
•
클래스명을 포함한 기본 정보는 개설 후에도 [설정] 메뉴에서 수정할 수 있어요.
클래스 시작하기
회원가입
클래스만들기
초대하기
1. 공간이란?
클래스는 주제와 대상을 구분해 게시 공간을 나눌 수 있는 [공간]과 공간의 묶음인 [공간모음]으로 구성되어 있어요.
'모두를 위한 공간'이라는 공간모음과 그 아래 '공지 사항', '자유 공간'이라는 공간이 기본으로 만들어져 있어요.
기본 제공되는 공간 이름이나 설정은 자유롭게 바꿔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2. 공간 추가하기
공간모음 이름 오른쪽에 위치한 [+] 버튼을 누르면 해당 공간모음 아래에 공간을 추가할 수 있어요.
3. [공간] 자세히 살펴보기
공간 나누고 구성하기
공간
공간모음
1. 원하는 공간으로 이동해 [글쓰기]를 눌러주세요
2. 자유롭게 게시글을 입력하세요. 넉넉한 용량은 덤!
제목은 옵션, 본문은 필수로 입력해주세요. 글자 크기, 굵기, 색깔 등 서식을 적용할 수 있어요.
동영상은
2GB
까지 첨부 가능하니, 높은 화질로 봐야 하는 영상도 마음껏 업로드해보세요!
**첨부 가능한 동영상 형식: mp4, avi, mpg, mkv, wmv, mov, m4v, ogv, 3gp, 3g2
3. 공간, 태그, 공지 여부를 설정하고 임시저장을 활용해보세요
글 작성하기
글쓰기
태그
임시저장
1. 게시글 참여하기
게시글에 대해 구성원은 간단한 버튼 피드백을 남기거나, 댓글로 의견을 표현할 수 있어요.
버튼 피드백으로는 '좋아요', '확인했어요', 그리고 학습 자료 반응을 파악하기 좋은 '어려워요'가 있어요.
2. 참여 파악하기
클래스 참여도는 3가지로 파악할 수 있어요.
먼저,
가장 기본적으로 '글을 읽었는지' 알아보세요. 게시글 제목 아래 표시되는 읽은 사람 수를 클릭하면 읽지 않은 구성원 리스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.
두 번째로는
게시글 및 자료를 이해 및 이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지 알 수 있어요. '어려워요'를 누른 사람이 누구인지, 아이콘 아래 텍스트를 클릭하면 반응을 남긴 구성원 리스트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.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이 누구인지, 어떤 주제가 학생들에게 어려운지 알아보세요.
세 번째는
구성원의 구체적인 의견 교환입니다. 의견을 댓글로 남기고 그 의견에 대해 대댓글(답글)을 남겨 토론을 유도해보세요.
참여도 파악하기
읽은 사람
반응하기
출석부
1. 실시간 수업 툴 Zoom 연동하기
실시간 수업을 진행할 공간에서 '연동하기'를 클릭해주세요.
Zoom에 로그인하고 클래스팅이 Zoom에 접근할 수 있도록 사전 승인과 승인을 차례로 눌러주세요.
(최초 1회만 진행하면 됩니다.)
2. 실시간 수업 시작하기
이제 Zoom을 연동해 둔 공간에서는 '시작하기' 버튼만 누르면 간편하게 회의실을 만들 수 있어요.
3. 구성원은 실시간 수업에 어떻게 참여하나요?
Zoom이 연동된 공간에 참여하는 구성원은 실시간 수업이 시작되면 '실시간 수업 참여하기' 버튼이 활성화되고,
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바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어요.
실시간 수업하기
Zoom연동
실시간수업알림
과제 배부 및 채점
'학생들이 채점 전에 서로의 과제를 참고하지 않았으면..'
'개별 점수를 관리하고 한눈에 볼 수 있었으면..'
이제 새로운 클래스팅에서도
과제 관리
가 가능해요!
과제 만들기
[모든 과제] 메뉴에서 [과제 만들기]를 클릭하여 과제를 작성해주세요.
[배부 대상]에서 배부할 공간을 정하고, [채점 방식]에서 배점 여부를 정할 수 있어요.
[배부 대상]에서 선택한 공간에 들어와있는 구성원만을 대상으로 과제가 배부됩니다. 배부와 동시에 공간 구성원들에게 알림이 전송돼요.
구성원은 아래와 같이 과제물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.
과제 관리하기
과제배부
과제채점
리포트
학교/기관 도입 문의하기
디지털 가정통신문 안내
가정통신문
설문조사